본문 바로가기
고령자 스마트폰 사용법

인터넷 검색 어렵지 않아요. 고령자 쉬운 인터넷 검색 방법

by olivecandy 2025. 4. 11.

“궁금한 게 있어도 물어볼 사람 없어요” 이제는 인터넷이 알려드립니다

요즘 세상은 궁금한 것이 있으면 바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검색을 해보는 시대입니다.
하지만 많은 어르신들께서는 “무언가를 검색하고 싶어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씀하십니다.
스마트폰은 갖고 계시지만, 어떻게 검색을 시작해야 하는지 몰라서 결국 자녀나 손주에게 직접 물어보시게 되지요.

하지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인터넷 검색은 생각보다 훨씬 간단하고, 조금만 익히면 누구나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검색창 찾기부터 검색어 입력, 원하는 정보 찾는 법, 실수하지 않는 요령까지 천천히, 아주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한 번만 따라해 보시면 "내가 왜 그동안 검색을 못했을까?" 하는 생각이 드실 만큼 쉬워지실 거예요.

 

1. 검색창이 어디에 있나요? – 스마트폰에서 인터넷 시작하는 방법

많은 어르신들께서 처음 어려움을 느끼시는 부분은 바로 ‘검색창’이 어디 있는지 찾지 못하시는 것입니다.
스마트폰에는 여러 가지 아이콘이 있어서, 어떤 것을 눌러야 검색이 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색 방법은 ‘구글(Google)’ 검색 앱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 앱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방법 1: Google 앱을 사용하는 방법

  1. 스마트폰에서 ‘Google’이라는 이름이 써진 아이콘을 찾아 눌러주세요.
  2. 위쪽에 **‘검색창’**이 보입니다.
  3. 그 안에 손가락으로 ‘궁금한 내용을 입력’하고, 돋보기 모양 또는 ‘Enter’ 버튼을 누르면 검색이 시작됩니다.

방법 2: 인터넷(삼성 인터넷, 크롬) 앱 사용

  1. ‘인터넷’ 또는 ‘Chrome’이라는 아이콘을 누릅니다.
  2. 상단 주소창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을 누르면 결과가 나옵니다.

팁: 자주 쓰는 앱은 홈 화면에 꺼내 놓거나, 화면 맨 아래에 고정해두면 더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 검색어는 어떻게 입력하나요? – 궁금한 내용을 정확하게 쓰는 방법

검색창을 찾으셨다면, 그다음 단계는 검색어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짧고 명확하게 쓰는 것입니다. 문장 전체를 쓰는 것보다, 핵심 단어만 적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 “서울 날씨”
  • “병원 영업시간” 또는 “○○병원 휴무일”

이처럼 검색어는 짧을수록 더 정확한 결과가 나옵니다.
검색어를 입력할 때는 스마트폰 키보드가 자동으로 나타나는데, 손가락으로 천천히 글자를 누르시면 됩니다.
만약 글씨가 작아서 잘 안 보이신다면, 설정에서 글자 크기를 키워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참고: 자판이 불편하실 경우, ‘음성 검색(마이크 아이콘)’을 이용하면 말로 검색도 가능합니다.
“서울 날씨”, “카카오톡 설치 방법”처럼 말만 해도 검색됩니다.

 

3. 검색 결과 보는 법 – 어떤 정보를 선택해야 할까요?

검색어를 입력하고 나면, 화면에는 여러 개의 검색 결과가 나타납니다.
이때 어떤 정보를 눌러야 할지, 어떤 것이 정확한지 판단하기 어려우실 수 있습니다.

먼저 검색 결과에서 위쪽에 있는 항목일수록 신뢰도가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네이버 지식iN’, ‘공식 홈페이지’, ‘병원 홈페이지’, ‘정부기관 사이트’ 등은 믿을 수 있는 출처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검색 결과에 이런 표현이 있다면 더욱 믿을 수 있어요:

  • ‘.go.kr’ → 정부 공식 사이트
  • ‘.or.kr’ → 비영리기관
  • ‘.ac.kr’ → 학교나 교육기관
  • ‘.com’ 중에서도 유명 기업 사이트 (예: 삼성, 국민건강보험 등)

주의: 광고(‘AD’ 또는 ‘광고’ 표시가 있는 항목)는 정보가 아닌 홍보성 글일 수 있으니, 가능하면 아래에 있는 일반 결과를 눌러보시는 것이 더 좋습니다.

인터넷 검색 어렵지 않아요. 고령자 쉬운 인터넷 검색 방법

4. 검색 결과 안에서 정보 찾는 법 – 사진, 전화번호, 지도, 뉴스, 날씨

스마트폰에서 궁금한 것을 검색했을 때, 화면에 결과는 떴지만 어디를 눌러야 할지 모르겠다,
병원 전화번호나 위치가 나왔는데 헷갈려서 닫아버렸다 하는 경험 있으셨나요?

사실 인터넷 검색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검색 결과를 보는 능력입니다.
검색어를 잘 입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다음 단계인 ‘정보를 읽고 활용하는 것’**이 더 큰 도움이 됩니다.
지금부터 어르신들이 인터넷에서 검색한 결과를 통해 정확한 정보, 사진, 전화번호, 위치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나하나 설명드릴게요.

 

검색 결과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스마트폰에서 검색을 하면, 화면에는 아래와 같은 항목들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차례차례 나옵니다.

  • 광고(광고 표시 있음)
  • 지도 정보 (병원, 음식점, 위치 등)
  • 전화번호, 영업시간
  • 관련 사진
  • 자세한 설명이 있는 웹사이트 링크
  • 블로그나 뉴스 글

이 중에서 어르신들께 **가장 유용한 정보는 상단에 있는 ‘지도 + 전화번호 + 영업시간’**입니다.
이 정보만 잘 찾으셔도 병원 예약, 약국 찾기, 가게 위치 확인 등을 직접 하실 수 있게 됩니다.

 

뉴스랑 날씨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이용해 뉴스를 보시려면, 먼저 ‘네이버’나 ‘구글’ 같은 검색 앱을 여신 후 검색창에 ‘뉴스’ 또는 ‘오늘 뉴스’를 입력해보세요. 그러면 최신 뉴스 목록이 한눈에 나오고, 원하는 제목을 누르면 해당 기사 전체를 읽으실 수 있습니다. 날씨도 마찬가지로 ‘서울 날씨’, ‘오늘 날씨’라고 검색하시면, 현재 기온, 강수확률, 미세먼지 정보까지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 번 검색해보시면 매일 아침 손쉽게 뉴스와 날씨를 확인하실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전화번호는 어디에 나오고, 어떻게 누르나요?

검색 결과에서 전화번호는 보통 큰 글씨로 중앙이나 오른쪽에 표시됩니다.
예:

  • 02-123-4567
  • 010-9876-5432

이 전화번호를 손가락으로 한 번 톡 누르시면, 스마트폰이 자동으로 전화를 걸 준비를 합니다.
그다음에는 ‘전화 걸기’라는 초록색 버튼이 화면에 뜨고, 다시 한 번 누르면 연결됩니다.

주의: 일부 번호는 ‘통화 연결 전에 안내멘트’가 나올 수도 있으니 당황하지 마시고, 상대방이 받을 때까지 기다려주시면 됩니다.

 

위치(지도)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병원, 음식점, 약국 등을 검색하면 지도 이미지가 자동으로 같이 나옵니다.
지도는 보통 ‘네모난 그림’ 안에 위치 표시(모양의 핀)가 찍혀 있습니다.

지도 보는 방법:

  1. 지도 그림을 손가락으로 톡 누르세요.
  2. 자동으로 ‘지도 앱’ 또는 ‘네이버 지도, 카카오맵’ 같은 앱으로 연결됩니다.
  3. 화면에 가게나 병원 이름, 주소, 전화번호가 함께 표시됩니다.
  4. ‘길찾기’ 버튼을 누르면, 현재 계신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어떻게 가는지 안내해줍니다.
    (도보, 버스, 지하철 등 선택 가능)

추가 팁: 자주 가는 장소는 ‘즐겨찾기’ 또는 ‘내 장소에 저장’해두시면 다음에 다시 찾을 필요가 없습니다.

 

사진은 어떻게 확인하고, 자세히 보나요?

검색 결과에 보면 음식점, 여행지, 병원 외관 사진 등이 작은 이미지로 여러 장 보일 때가 있습니다.
이 사진들을 통해 ‘어떤 분위기인지, 시설은 어떤지’를 미리 확인하실 수 있죠.

사진을 크게 보시려면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1. 사진을 톡 누르세요.
  2. 화면 전체에 사진이 커지며, 좌우로 넘기면 다른 사진도 볼 수 있습니다.
  3. 손가락 두 개를 화면에 댄 뒤 벌려주시면(핀치 아웃), 사진이 확대되어 글자나 디테일도 잘 보입니다.
  4. 사진을 누른 상태에서 위로 밀면, 닫히거나 다른 정보로 넘어갑니다.

팁: 일부 사진은 실제 방문자들이 올린 것이기 때문에, 더 현실감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음식점 메뉴 사진, 병원 입구 사진 등은 초행길에 큰 도움이 됩니다.

 

화면 넘기고 돌아가는 법 – 헷갈릴 땐 ‘뒤로가기’ 버튼 기억하세요

검색 결과를 보고 있다가 갑자기 다른 화면으로 넘어가거나, 광고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당황하지 마시고, 아래 두 가지 버튼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1. ‘←’ 뒤로가기 버튼:
    → 원래 보던 화면으로 한 단계 돌아가는 기능입니다. 실수해도 이 버튼 하나면 해결됩니다.
  2. ‘홈 버튼’ 또는 ‘최근 앱 닫기’:
    → 화면 아래에서 ‘홈’(둥근 버튼)이나 ‘□’ 버튼을 누르면 원래 홈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또한, 검색한 내용이 마음에 들고 자주 볼 것 같다면 **스크린샷(화면 저장)**을 해두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보통 ‘전원 버튼 + 볼륨 줄이기 버튼’을 동시에 짧게 누르면 화면이 저장됩니다.

 

 

5. 실수 줄이기와 기억하기 – 검색을 더 쉽게 만드는 작은 습관들

처음 검색을 시도하실 때는 실수도 생기고, 오타도 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간단한 습관만 익히시면, 검색을 훨씬 쉽게 하실 수 있어요.

① 검색 기록 활용하기

– 검색창을 누르면 이전에 검색한 내용이 자동으로 떠오릅니다.
자주 찾는 병원, 장소, 단어는 한 번만 입력해두면 그다음부터는 다시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② 즐겨찾기 기능 사용하기

– 자주 들어가는 사이트(예: 건강보험공단, 날씨 앱 등)는 ‘즐겨찾기’ 또는 ‘바로가기’로 저장해두세요.
이렇게 하면 매번 검색하지 않아도 한 번만 누르면 바로 접속됩니다.

③ 자녀나 손주에게 화면 녹화 요청하기

– 검색하는 법을 자녀나 손주에게 부탁해서 화면을 녹화해서 보여달라고 하시면, 반복해서 보면서 따라 하기 쉬워집니다.

추가 팁: 가끔은 검색이 잘 안 되거나, 이상한 화면이 뜰 수 있습니다.
이럴 땐 당황하지 마시고 ‘뒤로 가기 버튼(←)’을 누르면 이전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모르는 링크나 광고는 누르지 않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는 궁금한 걸 언제든지 내 손으로 찾아보세요

인터넷 검색은 배우기 전에는 어렵지만, 한 번 익히고 나면 평생 도움이 되는 기술입니다.
특히 병원 찾기, 약 복용법 확인, 날씨 보기, 뉴스 보기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대부분의 정보를
이제는 자녀에게 묻지 않고 직접 검색해서 확인하실 수 있게 됩니다.

처음에는 조금 낯설고 헷갈리더라도, 오늘 알려드린 방법을 천천히 따라해 보시면
“내가 직접 검색해서 손주 학교 행사 일정까지 찾아봤다!” 하고 뿌듯해하실 날이 곧 올 거예요.
스마트폰은 배려와 인내심만 있으면 나이와 상관없이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